산학협력단
인력 양성과 지역사회 중심의 산학협력
지역발전을 위한 기구로 대학과 외부 기관의 공식 창구가 되어 기업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과 새로운 지식 기술을 위한 연구, 산업체 기술이전 및 산업자문을 통해 지역 산업체에 필수적인 원동력을 창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
주요업무
▪ 산학협력계약의 체결 및 이행
▪ 산학협력 사업과 관련한 회계의 관리
▪ 지식재산권의 취득 및 관리에 관한 업무
▪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업무
▪ 연구과제 공모 및 신청, 간접비 징수 등 관리 업무
▪ 부속 사업단 운영·지원 업무
▪ 산업체 등에 산학협력을 통한 취업·창업 지원
▪ 기타 협력단의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사업
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(LINC+) 사업단
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발전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 구현
- LINC+는 ‘Leaders in INdustry-university Cooperation Plus’의 약자로서 교육부가 2012년부터 5년간 수행한 ‘LINC사업’의 후속사업으로, 기존 산학협력의 범위를 산업체에서 지역사회로까지 확장하여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발전하는 산학협력선도대학 구현을 목표로 추진(2017년~)하는 교육부의 대규모 대학지원사업
- 강릉원주대 LINC+사업단은 종합적인 산학협력 콘트롤 타워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고, 지역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사회수요 맞춤형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, 선순환적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역 친화적인 산학협력 생태계 조성에 집중
추진전략
